본문 바로가기

요가

동양에서 서양으로 건너간 요가의 역사 간단 정리



요가는 오늘날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웰니스 문화로 자리 잡았지만, 사실 그 뿌리는 고대 인도 철학과 명상 전통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동양의 내면 수련이,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서구 세계로 전파되고 현대 문화에 자리 잡게 되었을까요?

요가의 서양 전파는 단순한 ‘운동법의 수입’이 아닙니다.
이는 정신성과 신체성, 동양과 서양 철학의 접점에서 일어난 문화적 재해석의 과정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요가의 서구 전파 과정을 중심으로, 그 흐름과 숨은 이야기를 정리해 봤습니다.



1. 19세기, 영적 호기심과 함께 서구로 스며든 인도 철학


요가가 서양에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시기는 19세기 후반입니다.
당시 영국은 인도를 식민지로 지배하고 있었고, 동시에 유럽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동양의 신비주의 철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었죠.

이 시기에 등장한 대표 인물이 바로 **스와미 비베카난다(Swami Vivekananda)**입니다.
그는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종교 대회(World’s Parliament of Religions)**에 참가해,
요가와 베단타 철학을 강연하며 청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의 강연은 단순한 수행 소개가 아니라,
서양 지성인들이 지닌 합리적 사고와 논리 구조에 맞춘 철학적 요가 해석이었습니다.
덕분에 요가는 ‘이국적인 신비주의’에서 ‘심오한 정신 수련’으로 재조명되기 시작합니다.



2. 20세기 초, 요가의 물리적 수행으로의 관심 전환


초기 서구에서의 요가는 명상, 철학, 영성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하지만 20세기 초반부터는 점차 신체 단련과 건강법으로서의 요가에 주목하는 경향이 강해집니다.

이 변화의 중심에는 **티루말라이 크리슈나마차리아(T. Krishnamacharya)**가 있습니다.
그는 하타 요가 전통과 아유르베다, 탄트라 등을 통합한 실천적 요가 시스템을 정립했으며,
그 제자들이 이후 서양에 요가를 널리 퍼뜨리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게 됩니다.

대표 제자들로는:
• 파탄지 조이스(Pattabhi Jois) – 아쉬탕가 요가 체계 창시자
• 비크람 초등허리(Bikram Choudhury) – 핫요가 시스템 개발
• B.K.S. 아이엥가(B.K.S. Iyengar) – 도구를 활용한 정렬 중심 요가 정립

이들의 스타일은 각기 달랐지만, 공통적으로 몸을 통한 의식적 수련,
즉 ‘몸을 통해 마음을 통제하는 방식’을 중시했다는 점이 서구 대중과 맞아떨어졌습니다.



3. 1960~70년대, 히피 문화와 명상의 붐


요가가 서양 대중 속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가장 결정적 계기는
1960~70년대의 히피 운동과 뉴에이지 철학의 확산입니다.

당시 젊은이들은 산업화, 전쟁, 자본주의 시스템에 대한 회의감 속에서
내면의 평화와 자아 찾기에 관심을 돌렸고,
그에 부합하는 철학으로 요가, 명상, 인도 철학을 찾게 됩니다.

1968년 비틀스가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Maharishi Mahesh Yogi)**를 따라
인도 리시케시에서 명상 수행을 한 일화는,
요가가 단순한 트렌드를 넘어 하나의 문화적 상징이 되는 계기가 됩니다.

특히 마하리시의 초월 명상(TM) 시스템은
과학적으로 뇌파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과 함께
미국, 유럽 등에서 대중적인 붐을 일으켰습니다.



4. 21세기, 요가는 ‘운동’인가 ‘철학’인가?


현대에 이르러 요가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헬스클럽, 온라인 클래스, 치유센터 등에서
몸매 관리와 스트레스 완화의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요가는 철학적 뿌리를 잃고 ‘피트니스 상품’으로 소비되는 경향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패션으로 소비되는 요가복 브랜드, SNS용 요가 포즈 이미지 등이 요가의 ‘외형적 화려함’만 강조하는 것도 그 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가의 철학적 깊이를 되살리려는 움직임도 존재합니다.
• 전통 요가를 바탕으로 한 심신 통합 프로그램
• 정신건강과 명상을 중심으로 한 요가 교육 과정
• 트라우마 힐링, 중독 치료 등에 적용된 임상 요가 등

이는 다시금 요가를 몸-마음-의식이 연결된 전체적 인간 성장의 도구로 바라보게 합니다.



마무리하며


요가가 서양에 전파된 역사는 단순한 문화 수입의 흐름이 아니라, 인류가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의 진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요가는 단지 유연한 몸을 위한 것이 아니라, 현대인의 분열된 내면을 하나로 회복시키는 실천적 철학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그 시작은 멀리 고대 인도의 명상 전통이었지만, 그 여정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입니다.
당신이 매일 요가 매트 위에 서는 그 순간, 이 수천 년의 흐름과 조용히 연결되고 있는 셈입니다.



참고자료
• Singleton, M. (2010). Yoga Body: The Origins of Modern Posture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 Sjoman, N.E. (1999). The Yoga Tradition of the Mysore Palace.
• Alter, J. (2004). Yoga in Modern India: The Body between Science and Philosop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 White, D.G. (2011). Sinister Yog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